돈관리 Box/세금 Box

연말정산과 부양가족 기준 (소득기준/나이기준)

사막인 2023. 5. 30. 10:12
728x90

이번 포스팅은 연말정산과 관련된 부양가족 기준, 특히 소득기준과 나이기준에 대한 내용이다. 

근로자라면 연말정산이라는 단어를 들어보았을 것이다. 연말정산이라는 것은 유리지갑인 근로자를 위해 정부가 네가 사용한 실제 비용을 정산해서 세금을 내게 해줄게~ 이런 개념이다. 그래서 연말정산을 하면 제법 큰돈을 돌려받는 경우도 있어 13월의 월급이라는 소리도 나오기도 한다. 물론 추가로 더 내야 할 수도 있다.

 

 

 

썸네일. 연말정산 부양가족기준(소득,나이)


◆ 연말정산이란? 

연말정산은 근로소득자가 미리 납부한 소득세를 정산하는 세무적 과정이다.
원래 소득세는 한 해 동안 번 수입과 지출을 계산해서 이듬해 5월 종합소득세 기간에 신고/납부를 한다.
그러나 근로소득자만은 갑종근로소득세라고 해서 급여를 받을 때 미리 국세청이 고시한 비율로 세금을 선납한다.
선납의 비율은 90% 100% 110% 등 회사에 따라 선택할 수 있기도 하다.
선납분에는 소득공제라던지 세액공제 항목들을 적용하지 않기 때문에 실제 납부해야 할 소득세를 계산하기 위해 연말에 모아서 한번 정리하는데 이것을 연말정산이라고 한다. 
 


 ◆ 부양가족이란? 

연말정산의 한 과정으로 근로자의 소득에서 생계를 같이하는 가족을 부양하기 위해 필요한 기본적인 비용을 빼주게 되는데 이것을 부양가족공제 혹은 인적공제라고 한다.
부양가족이 되기 위해서는 소득 100만 원 이하라는 소득요건과 나이요건을 동시에 만족해야 한다.
다만 장애인의 경우는 소득요건만 만족하면 된다


 ◆ 소득요건 100 만원이란? 

한마디로 말하면 국세청에 공식적 신고된 소득금액이다.
해당 소득은 근로+사업+연금+이자배당+연금+양도+퇴직으로 상기소득의 총합 100 만원 이하여야 한다.

단, 분리과세소득(일용급여, 분리과세용 금융상품 등)과 비과세소득(실업급여, 육아휴직급여, 출산휴가급여 등)은 제외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스토어를 운영하고 있다면 물건을 판매한 수입금액에서 경비를 뺀 순수익을 소득이라고 한다.
그러니 수입이 5000 만원이라도 경비에 따라 부양가족이 될 수도 있고 안될 수도 있다.

혹은 부양가족 공제를 받던 배우자가 배우자명으로 된 집을 팔면서 양도소득이 크게 발생하면 그 해에는 배우자를 부양가족으로 공제할 수 없다.

다만 근로소득은 수입으로 계산한다.
다른 소득이 없고 근로소득만 세전금액으로 연 500 만원 이하면 부양가족 공제 대상이다



 ◆ 나이 요건은? 

부모님이나 조부모님들은 만 60세 이상
자녀나 위탁아동은 만 20세 미만 (손자녀,입양자녀 포함)
형제자매는 만 60세 이상 이거나 만 20세 미만

단, 장애인은 나이요건이 없다

 

 

 

728x90
728x90